반응형 공공분양2 공공분양과 민간분양의 의미와 차이점 아파트를 분양하는 방식은 2가지 방식으로 나뉩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래미안, 자이, 힐스테이트 등 민간 브랜드가 들어가는 아파트를 분양하는 민간분양이 있고 주공, LH, 휴먼시아, SH 등 공공기관에서 공급하는 공공분양이 있습니다. 엄밀히 말하자면 민간 브랜드가 들어간 아파트 중에도 공공분양 아파트가 있기는 하지만 편의상 간단하게 나눕니다. 공공분양 "공공분양"이란 공공주택사업자(LH, SH 등)가 국가나 지자체의 재정이나 주택도시기금의 지원을 받아서 국민주택규모(전용면적 85㎡) 이하) 이하의 주택을 공급하는 것을 말합니다. 공공분양 주택은 LH(한국토지주택공사), SH(서울주택공사) 등 지방주택공사 혹은 마이홈포털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민간분양 "민간분양"이란 민간 건설사업자나 조합 등이 주택지구.. 2023. 6. 12. 3줄로, '공공분양' 알기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feat. 행복주택, 주택청약) 집값이 천정부지로 올랐습니다. 너무나도 많이 올라서 강북 30평대 아파트도 분양가 10억을 넘어버리기 시작했습니다. 우리나라 가구 구성원 수로는 21년 기준 1인 가구 비율이 33.4%로 1위, 2인 가구 28.3%, 3인 가구 19.4%, 4인 가구 14.7%로 조사됩니다. 30평대 아파트는 4인 가구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주택 크기인데요.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을 보면 540만 원으로 조사됩니다. 거기에서 생활비를 보수적으로 60%로 잡고 40%는 저축을 한다고 단순 계산을 했을 때, 매달 216만 원 저축을 하게 됩니다. 1년을 모으면 2,600만 원이고 10년 모으면 2억 6천만 원, 40년을 모아야지 10억이 됩니다.. 물론 주택을 이렇게 저축해서 사진 않고 모기지로 사지만 강남 아파트도 아닌.. 2023. 6.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