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기업의 의미, 내가 다니는 회사가 중소기업, 중견기업 일까?

by 3줄맨 2023. 6. 20.
반응형

우리나라 사람들은 다들 대기업에 들어가고 싶어 합니다. 본인의 적성이나 흥미보다는 어렸을 때 부터 좋은 대학을 나와서 대기업에 취업하는 것을 목표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사람들이 선망하는 대기업의 의미와 중견기업, 중소기업의 의미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대기업이란 말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하게 쓰이지만 정작 '대기업'이란 의미는 법령상 정확하게 규정하는 기준이 없습니다. 다만 공정거래위원회에서는 매년 5월 초에 간접적으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으로 대기업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발표하는 내용으로 '공시대상기업집단'과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두가지가 있는데 보통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을 대기업으로 분류합니다.

 

이에 반해,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에 대한 정의는 법령상 규정되어 있습니다. 중견기업에도 속하지 않고 중소기업에도 속하지 않는 기업이 대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나씩 구분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대기업' 구분하는 방법

법령상에 명확한 규정은 없지만 간접적으로 아래의 조건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대기업의 기준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4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그리고 공정거래위원회에서는 매년 공시대상기업집단인 대기업을 지정하여 발표하고 있습니다.

  1. 중소기업기본법이 규정하는 중소기업보다 규모가 큰 기업
  2. 중견기업 성장 촉진에 관한 법률에 해당하지 않는 기업
  3. 자산 규모가 10조 원 이상으로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지정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4. 금융 및 보험, 보험서비스업을 하며 중소기업기본법이 규정하는 중소기업보다 규모가 큰 기업

이와 같은 기준을 만족하는 국내 대기업 집단은 2023년 5월 기준 48개 집단, 계열사를 포함하여 2,169개 입니다. 과거에는 공기업도 대기업으로 분류했으나 현재는 공기업은 대기업으로 분류하지 않고 있습니다.

대기업-통계
출처: e-나라지표

중견기업

중소기업과 대기업 중간에 위치한 기업의 규모입니다. 대한민국 기업 중 0.12%를 차지하는 기업의 규모입니다. 주변을 보면 다들 대기업만 다니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실상으로는 국내 기업 중 99.8% 이상이 중소기업입니다. 그 중 0.12%가 중견기업이고 대기업은 0.08% 인데 정말 적은 숫자입니다.

  1. 자산 총액 5천억원 이상 5조 원 미만
  2. 3년 평균 매출액 4,00억 ~ 1,500억 원 이상
  3. 상시근로자 1천 명 이상

대기업을 분류할 때는 상시근로자 기준이 없지만 중견기업을 구분할 때는 상시근로자에 대한 기준이 있습니다. 우리가 아는 중견기업 중에 유명한 기업으로는 아래와 같은 기업들이 있습니다.

  • 하이브
  • JYP엔터테이먼트
  • 엔씨소프트
  • 메가스터디
  • 한솔그룹
  • 오뚜기
  • 오뚜기
  • 한샘
  • 세스코

이외에도 수많은 기업들이 있지만 가장 유명하고 대기업으로 오해할 수 있는 기업들을 추려봤습니다. 생각했던 것 보다 규모가 큰 기업들도 있을 거고 대기업인줄 알았는데 중견기업인 기업들도 있을겁니다.

 

중소기업

대기업, 중견기업 외의 모든 기업을 중소기업이라고 합니다. 중기업, 소기업 따로 나누긴 하지만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아래의 요건을 갖춰야 합니다. 다만 기준은 경제 여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대기업 중견기업에 비해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기업
  2. 업종에 관계 없이 자산 총액 5천억 원 미만

강소기업

중소기업 안에서 우수한 기업을 모아서 강소기업으로 선정합니다. 강소기업의 요건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로 강소기업에 선정되면 취업지원, 기업홍보, 금융지원 등 받을 수 있습니다.

  1. 2년 이내 임금체불이 없는 기업
  2. 2년 연속 동종 업종, 규모별 평균 대비 고용 유지율이 높은 기업
  3. 2년 이내 산재 사망 발생이 없는 기업
  4. 10인 이상 기업(건설업은 30인 이상)

 

반응형

댓글